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마라톤 후 회복 & 복귀 루틴| 달린 다음 일주일, 무엇을 해야 할까?

by 헬곰 2025. 4. 19.
반응형

마라톤 완주 후, 그 다음이 더 중요하다

마라톤을 완주한 건 정말 대단한 성취지만,
그만큼 몸은 극도로 피로해진 상태입니다.
완주 직후 적절한 회복 관리를 하지 않으면

  • 무릎, 발바닥, 고관절 통증
  • 근육 뻣뻣함
  • 심한 피로감과 면역 저하
    같은 문제가 이어질 수 있어요.

이 글에서는 마라톤 후 일주일 동안
무엇을 먹고, 어떻게 움직이고, 언제 쉬어야 할지
시간 순서대로 정리해드릴게요.


🕐 마라톤 직후 0~2시간 | 급속 회복 단계

마라톤을 마친 직후는 골든 타임입니다.
이때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 회복 속도가 크게 달라져요.

✅ 수분과 전해질 보충

  • 땀으로 손실된 수분, 나트륨, 칼륨 등을 빠르게 보충
  • 스포츠 음료, 물 + 바나나, 소금 간식 등 추천
  • 탈수는 피로를 더 심하게 만들고 회복을 지연시킵니다

✅ 탄수화물 + 단백질 섭취 (4:1 비율)

  • 글리코겐 재합성을 위한 탄수화물
  • 손상된 근섬유 회복을 위한 단백질
  • 초콜릿 우유, 에너지 바, 바나나 + 닭가슴살 조합 등 OK

✅ 가벼운 정리 운동 (쿨다운)

  • 완주 직후 바로 앉거나 눕지 말고 10~15분 가벼운 걷기
  • 혈액 순환을 유지해 젖산 제거와 회복 촉진
  • 스트레칭은 이완 위주로 천천히

✅ 압박 의류 착용

  • 종아리, 허벅지 압박 밴드 착용은
    근육 피로 회복과 붓기 완화에 효과적

 


📅 마라톤 1~3일 후 | 근육 회복 & 통증 관리 단계

이 시기에는 대부분 DOMS(지연성 근육통)가 심하게 나타납니다.
움직이기 힘들고 뻣뻣한 느낌이 강할 수 있어요.

✅ 능동적 회복 운동 시작

  • 실내 자전거 10~15분
  • 수영이나 수중 걷기
  • 가벼운 스트레칭, 요가

운동 강도는 최소로, 움직이기 위한 움직임이 목표입니다.

✅ 마사지 & 폼롤러 활용

  • 뻣뻣한 허벅지, 엉덩이, 종아리 중심
  • 하루 1~2회, 5분 정도 부드럽게
  • 통증이 심한 부위는 피해서 주변 근육 위주로 진행

✅ 충분한 수면과 회복식 유지

  • 수면 시간 최소 8시간 이상
  • 항산화 음식 (베리류, 녹차, 토마토 등)과 수분 보충 계속

📆 마라톤 4~7일 후 | 점진적 복귀 단계

통증이 가라앉고 몸이 가벼워지는 시점입니다.
하지만 아직 완전히 회복된 건 아니니 조심스럽게 훈련을 재개해야 해요.

✅ 가벼운 러닝 or 걷기

  • 걷기부터 시작 → 3~5km 러닝으로 전환
  • 통증, 피로 반응을 관찰하며 페이스 조절
  • 심박수 130bpm 이하 유지

✅ 약해진 부위 강화 시작

  • 하체 근육 강화 루틴 (스쿼트, 런지, 브릿지)
  • 코어 안정화 운동 (플랭크, 슈퍼맨 등)
  • 고관절, 발목 강화 운동도 함께

✅ 휴식일 포함하기

  • 1주일에 최소 이틀은 완전 휴식
  • 과도한 훈련은 회복 지연 + 부상 위험을 높입니다

회복 루틴 요약 (기간별 한눈에 보기)

시기 핵심 포인트 주요 활동
0~2시간 수분·영양 보충, 순환 유지 수분 + 탄단 식사, 걷기, 압박 의류
1~3일 능동 회복, 통증 관리 자전거, 수영, 스트레칭, 마사지
4~7일 점진적 운동 재개 걷기/러닝, 강화 루틴, 휴식 조절

이런 실수는 피하자! 마라톤 후 주의사항

  •  통증 무시하고 다시 뛰기
  •  바로 고강도 웨이트 시작하기
  •  운동 후 아무것도 먹지 않기
  •  하루 종일 누워만 있기
  •  밤샘·수면 부족 지속하기

함께 보면 좋은 글

📌 [마라톤 후 근육통(DOMS)의 모든 것 | 회복과 예방 루틴 완전 정리]
📌 [마라톤 후 통증 예방 운동 | 근력과 유연성 루틴 한 번에 보기]
📌 [마라톤 후 무릎 통증 대처법 | 주행자 무릎, 슬개건염 원인부터 관리까지]